Mirror of Zen Blog

Search
Close this search box.

Making “The Compass of Zen”

[ I wrote this story in Facebook two years ago, on the occasion of the twentie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Zen Master Seung Sahn’s The Compass of Zen. ]

The Compass of Zen is now 20 years old.
[ 한국말 맨 아래에서 ]

Twenty years, already passed, like nothing. Happy birthday to one of the seminal records in “modern” Buddhism by one of the greatest teachers to ever articulate it, Zen Master Seung Sahn (1927-2004). 

The first edition was in 1997. For some reason, during an interview with another teacher, I was told that Dae Soen Sa Nim wanted me to put his series of talks together as a book. Only that. 

He yelled at me for four long years, “When finish?!!” Every time we met, he shouted, “When finish?” (And that was a lot to handle, since we both lived in the same smallish temple together at Hwa Gye Sah.) Even after traveling happily with the Hwa Gye Sah family to see him off or welcoming him arriving at Kimpo Airport, the moments of interaction were very short, surrounded by people. But you got your teaching anyway. As I bow down with big smile, all of us leanng in, and him dropping greetings and teachings here and there, basically the one I got was, “When finish? Why not finish this book?! Some finish necessary!”

Now, not to make him sound strange or even irritable. But the original “root” text of The Compass was a thin, 30-something-page mimeographed handbook of the spare root text, and nothing else. The rest of what appears as a text was fleshed out by going through many many hours of his talks on the subject, and many other Dharma talks he gave on the various subjects, to fill out the frame with the muscles and sinews his sparer skeleton of teaching required. So, he naturally believed — I think — that it would be a snap to put together a basic book with a few stories gathered around the central organizing roots.

One can’t be sure what he expected, but anyway, I did not see it that way. I saw this as being a chance to produce one complete record of his teachings on most of the core issues of Buddhism. I wanted to get everything in there that he had said about these things, and I had to go through lots of recordings of his talks, produce meticulous transcripts, and even add stories I had heard him say in live talks, and stories that some of his closest students relayed about him.

One time we met by accident, In a remote temple in the mountains outside Seoul, after having already met for the Dharma talk after morning practice in Hwa Gye Sah. I was in this temple for some matter, and here comes my beloved Teacher, scheduled for a tea with the Abbess. I bowed to him deeply as he walked up the main temple path, what a beautiful coincidence! But as he got nearer, he just barked at me, “When finish?!” It was total mortification. I wanted to find a rock in this beautiful temple to run under and hide. With any luck, it would crush me, then soon finish!

We had a challenging relationship during those years — he expected something simple and quick from the original 30-page root text, and yet I was totally foolhardy enough to tell that him I was merely trying to ferment a great wine: it might take time, it might take time. Idiot work, that never cut it with him. “Why not finish?” 

But he was not being intemperate. He just knew that his own remaining days of teaching activity were growing ever-smaller. He was a man on a mission to save all beings from suffering, that’s all.

He used to declare a lot in his talks at Hwa Gye Sah, “common world have many wars. Many many human beings die. Only attack-mind nowadays. Many have strange weapons all humanity kill.” Something like that. Someone else can give a clear quote, it is welcome. It is surely on the tapes that were preserved up this morning talks in the temple. So he seemed to feel some intense urgency. “Human being soon wake up necessary!“ And “Nowadays human beings number one bad animal in this world. Number one dictator. All kill everything.” “This world wake up necessary!” He was well aware of the current matter of our impending environmental disaster, before the matter of climate change was even spoken about much. He died in 2004. He knew and he declared that there would be some “payback“ or balancing for this, according to natural law. 

“Human beings soon wake up necessary!” He was clearly urgent in his fear for life itself on this planet, so he was urgently focused on this arrogant punk of a monk getting his teachings put out there NOW. He wanted to hand sentient beings a compass — not a compass leading to him, as Guru or establishment Teacher, but to themselves. When I asked him why it was called The Compass of Zen — and not the Compass of BUDDHISM, since he spoke also of Hinayana (Theravada) and Mahayana teachings — he answered, “This book’s teaching is, What kind of Zen in this world. Also have Zen in some Hinayana practice. Also have Zen in some Mahayana sutras. And in Zen, also many kinds of Zen. Many kinds of techniques. What is true technique for find my true self? I only showing that. Most important is, don’t know.”

I believe fully that this must be the fullest, clearest exposition of his mind into all of the subjects in the thin, thin group text. Kidd told many many stores, and also used dryer explanation. But all of these were scattered in mountains of tapes and old spotty video tapes. But there were different stories he had used when teaching the Compass at Hwa Gye Sah in Korea, in the 1980s. There was a book published with those talks. How he gave these teachings to Westerners, and anything else that would show is inside, especially where his English had been poor in some of the public talks.

So I really wanted to cast a wide just not possible to mine for this one opportunity to have his complete vision all in one place. As clearly as possible. Without any fat for intellectual grabbing, as he wanted to avoid himself. Trying to keep the simplicity.

He really wanted it done, with his physical indominatibilty waning, to have this complete insights of all facets of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I had been given a single room at the temple during those years in order to work on this book. That was a very rare thing for a young monk. And one whole wall was a completely elaborate construction of the flow of every single story and explanation that he had given, which I had amassed from hundreds of hours of tapes, personal things scribbled on the back of envelopes that I had heard directly in his morning talks to us, or stories that I had heard from some of the senior monks. Scraps and crumpled napkins with chicken-scratched notes, linked together with a tangle of intersecting lines. That big wall was like a scene from “A Beautiful Mind,” where John Nash strings up in his garage an elaborate flow-chart of things out of his head. Nobody knew what was the matter. Even some of my friend monks used to come in and make jokes. “Don’t make this more complicated than his own teaching!” But I wasn’t, and wouldn’t: we just needed to get this thing right, in every detail. The flow of this could not leave out a single point.

It is said that, every day, Pope Julius II used to come in and yell up at Michelangelo, working on the Sistine Chapel, “When will you make it end?” And Michelangelo could only answer, “When I’m finished.” That’s how I felt. Except that, I was not even Michelangelo – – my Teacher was, or his teaching was, and I was just some little paintbrush in the hand. Maybe a fiber on the tip of the brush, pulled from a horse’s tail — there were many other practitioner-bristles expressing his inimitable teaching. His was a Dharma which painted itself, it seems.

Dae Soen Sa Nim did not even like this cover image which I chose. And this said a lot about his teaching about Buddha images, such as we see in homes and restaurants: He said it was “not correct” because it cut off the body of the Buddha under the neck —he hated Buddha-head-only things, thought them deeply disrespectful. I said, “Yes, but this is Sokkuram Buddha — the most famous Buddha statue in your Korean history.” He didn’t give a darn about any national pride — “Why cutting off under head?!” He was a stickler for the full-picture. He believed that a Buddha-statue does do not exist for decorative purposes. Without the seated posture, the Buddha head has no “direction.“ That was a very very important teaching to get. To this day, I cannot look at a head-only Buddha the same way. A little of his own passionate scorn for that has been implanted in my mind ever since.

The project was drawn out for so long mostly because I was dutifully attending the three-month Winter Kyol Che’s and Summer Kyol Che’s, putting it all down and looking into “don’t know” in silence, plowing through interviews and doing tons of thousands of bows, and returning to the work only during the relative silence of the three-month Hae Jae. Didn’t matter. “When finish???!!!”

And when I flew to Korea from the US in late Autumn 1997, with the first copies wrapped in silk, expecting his final approval, he leafed quickly through the product of four years’ effort and just waved it over a nearby garbage pail, like some stinky fish. “Throw this away. Throw it away now. Many sentient beings will read these words, attach to them, and lose their way. Better to throw it away right now.”

That was it. A punch to the gut. The Master didn’t give a flying poop about my ego’s extensive investment in this project, or his own many-uttered exhortations to finish it. Straight in the garbage. 

And that is why he is my Teacher. He didn’t care about his own words, or even his own written teachings. He didn’t care a whiff about my petty ego’s attachment to it, or anyone’s proud celebration of this super-succinct expression the totality of the Buddha’s teachings: “Throw it away, right now.” That was his first reaction.

This man from the North was really like a great compass: he always pointed “true North.” And that’s the real Compass of Zen. Timeless.

“선(禅)의 나침반” 은 이제 스무살이 되었다. 

20 년, 이미 지나갔다. 마치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항상 불교를 명확히 한, 가장 위대한 스승 중 한 분인 숭산대선사님(1927-2004)에 의한 “현대” 불교의 정교한 기록 중 하나에 대한 생일을 축하한다. 

초판은 1997 년이었다. 어떤 이유로 다른 스승과의 인터뷰에서 대선사님께서 자신의 회담을 한권의 책으로 정리하는데 나를 원한다고 들었다. 오로지 그뿐이었다. 

그는 4 년 동안 내게 큰 소리로 고함쳤다. “언제 마쳐?” 우리가 만날 때마다 그는 “언제 마쳐?”라고 소리 쳤다. (그리고 우리는 화계사의 작은 암자에 함께 살았기 때문에 많은 것을 함께 처리해야했다.) 심지어 공항에서 화계사 식구들과 행복한 여행을 위한 그를 배웅하기위해 혹은 김포 공항에 도착한 그를 환영하고 난 후에도, 사람들로 둘러싸여 우리의 매우 짧은 교류의 순간에도 어쨌든 그는 그의 가르침을 마련했다. 나는 커다란 미소로 머리를 숙여 인사하고, 우리 모두는 기댔다. 그리고 그는 여기저기 인사와 가르침을 주셨고, 기본적으로 내가 하나 얻은것은 “언제 마쳐? 왜 안 끝내? 일부 마무리 필요해! ” 였다. 

우리가 우연히 만났던 한번은, 이미 화계사에서 아침 수행 후 법문을 위해 만난 후, 서울 밖의 산속에있는 외딴 절에서였다. 나는 이 절에서 어떤 일에 관계하고 있었다. 그리고 여기 내 사랑하는 스승님께서 원장수녀님과 차를 마실 일정으로 오셨다. 그가 대웅전을 향해 걸어 오고 있을 때 나는 그에게 깊은 인사를 드렸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우연의 일치인가! 그러나 그가 더 가까이 올수록, 그는 나에게 짖다시피 소리쳤다. “언제 마쳐?” 그것은 완전 굴욕이었다. 나는 이 아름다운 절에서 달려가 그 아래 숨을 바위를 찾고 싶었다. 운이 좋다면, 그것은 나를 눌러 부숴 줄 것이고, 곧 마칠 것이다!

그 수년 동안 우리는 도전적인 관계를 가졌다. 그는 20 쪽짜리 원문에서 간단히 그리고 빨리 얻기를 기대했었다. 그러나 나는 그저 내가 위대한 포도주를 숙성 시키려했다는 것을 그에게 말할만큼 충분히 무모했다. 시간이 걸릴 수도 있고,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그와 함께 절대로 그것을 모른 체할 수 없는, 바보같은 일. “왜 안 마쳐?”

그러나 그는 도를 넘어서지 않았다. 그는 이제 자신에게 남은 설법 활동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음을 알았다. 그는 모든 존재를 고통에서 구원하는 임무를 수행중인 사람이었다. 그것이 전부였다.

그는 자주 그의 법문 중에 독점 강타를 명확한 많은 말씀으로 하셨다. “공동 세계에는 많은 전쟁이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죽는다. 요즘은 오로지 공격 정신만 있다. 많은 사람들이 모든 인류를 죽이는 이상한 무기를 가지고 있다. ” 그런 식으로. 다른 사람의 명확한 인용문을 줄 수 있다면, 그것은 환영한다. 그것은 오늘 아침 절에서 이야기를 한 보존 된 테이프에 있는 셜리(Shirley)다. 그래서인지 그는 강한 긴박함을 느낀 듯 보였다. “인간은 빨리 깨어나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오늘날의 인류는 이 세상에서 최고로 나쁜 동물이다. 최고의 독재자. 모든 것을 죽인다. ” “이 세상은 깨어나야 할 필요가 있다! ” 그는 기후 변화의 문제가 많이 언급되기 전에 임박한 환경 재앙의 현재 문제를 잘 알고 있었다. 그는 2004 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는 알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이를 자연법에 따라 일부 “되돌려 받을 것” 이고, 또한 이것을 위해 균형을 유지할 것이라고 단호히 말했다.

“인간은 빨리 깨어나야 할 필요가 있다!” 그는 이 지구상의 삶 자체에 대한 그의 두려움은 분명히 시급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래서 그는 급히 그의 가르침을 받고 있는 한 명의 이 오만하고 불량한 중놈에게 주력하였다. 그는 중생들에게 그에게가 아닌, 구루나 설립 스승으로서도 아닌, 그들 스스로 인도할 나침반을 건네주길 원했다. “이것은 이 세상의 어떤 종류의 선(禅)이다. 또한 어떤 한 종류의 어린 수행에서 모래이다. 또한 대승불교 몇몇 경전에도 선(禅)이 있다. 그리고 선(禅)에도 많은 종류의 선(禅)이 있다. 많은 종류의 기술도. 무엇이 진정한 자아를 찾기 위한 진정한 기술인가? 나는 단지 그것을 보여줄 뿐. 가장 중요한 것은 모른다. “

나는 듬성듬성, 내용이 없는 단체 문자메시지의 모든 주제들, 이것이 그의 마음을 가장 분명하고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임을 전적으로 믿는다. 키드는 많은 상점들을 말했고, 건조기 설명도 사용했다. 하지만 이것들 전부는 산같은 테이프들과 오래된 얼룩덜룩 한 비디오 테이프들에 흩어져있었다. 그러나 1980 년대 한국의 화계사에서 나침반을 가르 칠 때 사용했던 다른 이야기들이 있었다. 그 법문들로 출판 된 책이있다. 그가 서양인들에게 어떻게 이런 가르침을 주었는지 특히 그의 부족한 영어로 대중을 위한 일부 법문에서, 그리고 보여줄 다른 것들도 안에 있다. 

그래서 나는 단지 한번의 기회로 내 것이 되기에 가능하지 않은 그의 완벽한 비전을 한 곳에 넓게 펼치고 싶었다. 가능하면 명확하게. 그가 그의 자신 스스로 기피하고 싶었던, 지적 흥미를 위한 어떤 군더더기 없이. 단순함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불교의 “생각”과 실천의 모든 측면에 대한 완전한 통찰력을 갖기 위해 육체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끝내기를 정말로 원했다.

나는 이 책을 집필하기 위한 그 수년동안 절에서 방 하나를 받았다. 젊은 스님에게는 매우 드문 일이었다. 그리고 하나의 벽 전체에는 그가 해주신 각 이야기와 설명의 흐름으로 완전히 정교하게 구성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내가 수백시간의 테이프들로부터 얻어 축적한, 그의 아침 법문에서 우리들에게 말씀하셨을 때 내가 직접 들은 봉투의 뒷면에 쓰여진 개인적인 낙서, 혹은 어떤 고참 스님들로부터 내가 들었던 이야기들이었다. 읽기 힘든 필체로 빼곡히 쓰여져 있는 스크랩들과 구겨진 냅킨들, 교차하는 얽힘과 함께 연결돼 있었다. 그 큰 벽은 “A Beautiful Mind” 의 한 장면과 같았다. 그의 차고에서 축 처져 있던 존 내쉬(John Nash)는 사물의 정교한 흐름도를 그의 머리 밖으로 꺼냈다. 아무도 그 문제가 뭔지 알지 못했다. 내 동료 스님들 중 몇 명은 농담을 하곤 했다. “이것을 그분의 가르침보다 더 복잡하게하지 말게!” 하지만 나는 아니었고, 그렇게 하지 않았다. 우리는 이 일의 모든 세부 사항을 단지 올바르게 할 필요가 있었다. 이 흐름은 단 하나의 요점을 벗어날 수 없었다.

교황 율리오 2 세 (Julius II)는 매일 시스티나 성당에서 일하는 미켈란젤로에게 소리 쳤다. “언제 끝낼 것인가?” 그리고 미켈란젤로는 오직 “내가 마쳤을 때” 라고 대답 할 수 있었다. 그것이 내가 느낀 방법이었다. 그것을 제외하더라도, 나는 미켈란젤로조차도 아니었다. – – 나의 스승은 혹은 그의 가르침은, 그리고 나는 손안에 어떤 작은 그림 붓이었다. 어쩌면 말의 꼬리에서 뽑아 내어 만든 붓의 끝 부분에 붙은 하나의 섬유였을것이다. 그의 훌륭한 가르침을 표현하는 다른 많은 강모(剛毛)-수련자들이있었다. 그의 그림은 달마가 그린 그자체인 듯했다. 

대선사님은 내가 선택한 이 표지 이미지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가 가정과 식당에서 볼 수있는 것과 같은 부처의 이미지에 관한 그의 가르침에 대해 많이 말씀하셨다. 그는 부처의 목 아래로 몸을 잘랐으므로 “정확하지 않다”고 말했고, 오직 그것, 머리만 부처를 싫어했다. 그들을 심히 무례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말했다. “예, 그러나 이것은 석굴암의 부처입니다 – 당신의 한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불상입니다. ” 그는 국가의 긍지에 관해 헛소리따위는 하지 않았다 -“왜 머리의 아래는 잘랐나?! ” 그는 부처의 전체 사진을 고수했다. 그는 불상이 장식적인 목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었으며, 앉은 자세가 없으면 부처의 머리는 “방향”이 없다고 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가르침이었다. 오늘날까지 나는 똑같은 방법으로 머리만 부처는 볼 수 없다. 그 자신의 열정적인 경멸의 일부가 내 마음 속에 이식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오래 끌었다. 그 이유는 3 개월간의 동안거와 하안거에 참석해야 했다. 그리고 모든 것을 내려놓고 침묵 속에서 “모를뿐”을 들여다 보며, 대면을 통해 헤치고 나아가, 수천 번의 절을하며 3 개월간의 해재의 상대적 침묵 동안만에 작업에 복귀했다. 상관 없었다. “언제 마쳐??? !!!”

그리고 1997 년 늦은 가을, 실크로 포장한 첫 번째 사본을 가지고 미국에서 한국으로 건너가 그의 최종 승인을 기다렸을 때, 그는 4 년간의 노력의 산물을 재빨리 포장을 뜯어 내더니 마치 비린내 나는 어떤 생선인 것 처럼 근처의 쓰레기통 위로 흔들어 댔다. “이거 저리 던져버려. 당장 그거 저멀리 버려. 많은 지각있는 존재들이 이 단어들을 읽고, 붙이고, 길을 잃을 것이다. 지금 당장 버리는 것이 더 낫다.”

그것이었다. 제대로 창자를 한 대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스승님은 이 프로젝트에 대한 나의 자존심을 막대하게 투자하거나 그것을 끝내기 위해 자신의 많은 발언을 권고하는 것에 대해 헛스윙을 하지 않았다. 곧장 쓰레기통에.

그래서 이 사람이 내 스승님이 되셨다. 그는 자신의 말이나 심지어 자기 자신의 서면(書面)가르침에 대해서도 상관하지 않았다. 그는 그것에 대한 애착을 부리는 내 작은 자아의 헛일에 대해서도 아무렇지도 않았고, 혹은 누구라도 부처님의 가르침의 총체적인 이 초(超)간결한 표현에 대해 자랑스럽게 여기고 축하하는 것에도. “갖다 버려 당장.” 그것이 그의 첫 번째 반응이었다.

북쪽(북한)에서 온 이 사람은 정말로 위대한 나침반과 같았다. 그는 언제나 “진정한 북쪽”을 가리켰다. 그리고 그것은 바로 “선(禅)의 나침반”이었다. 영원한.

Share this on:

Related Posts: